일곱살 아이는 여전히 밤중에 깨어납니다
많게는 세네번 잠에서 깨어 엄마가 있는지 확인하고
"잠이 안와요"
"무서운 생각이 나요"
라며 쉽게 잠이 들지 못하죠
그렇게 30분 정도 뒹굴거리다
겨우 다시 잠드는 아이
아이로 인해 나 역시 매일 밤 잠을 설치고
숙면을 못하는 아이가 걱정이 되는 일상이지요.
저만의 이야기는 아니겠죠?
오늘은 잠에 대해 알아보아요.

잠이 보약이다 라는 이야기 들어보셨지요?
자는 시간은 아이들은 낮 동안 있었던 일을
머릿속에서 정리하면서 두뇌가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자는 동안 성장 호르몬을 분비해서 몸이 자라는 시기이고
잠으로서 충전하며 면역력이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아이들의 수면에 대해 알아보아요
깊은 잠을 자지 못하고 자꾸 깨는 아이가 있습니다.
야제증은 한자로 풀이 해보면 밤 야, 울 제로
밤에 깊게 못자고 우는 증상을 야제증이라고 합니다.
질병이라고 할 수 없지만
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가족들의 행복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반드시 개선되어야 하는 증상이지요.
야제증의 범주는요
부모가 아이를 재우는 과정에서 한번에 못자는 경우
중간 중간 깨서 뒤척이고 우는 경우
깼을 때 다시 잠들기 어려운 경우가 모두 야제증에 속 할 수 있습니다.
야제증이 나타날 수 있는 연령은 두돌 미만에 주로 나타납니다.
아이의 수면 패턴은
깊은 잠,얕은 잠이 반복 되며 수면이 유지됩니다
어른들보다 깊은 잠을 자는 주기가 짧은 아이들은
깊은 잠을 한시간 정도 유지합니다
어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죠
잠 주기는 어른이 되어가며 점차 늘어납니다.
최소 만 두돌에서 세돌이 지나야 합니다.
야경증
한자로 밤 야에 놀랄 경 야경증이라고 합니다
보통 야경증은 수면 초반에 나타나고 공포에 질린 듯한 증상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야경증 증상
야경증은 실제 공포 반응들인 심박동이 빨라지거나 식은땀이 나고
호흡이 가빠지고 울음이나 비명 등의 증상이 수면 중에 나타납니다.
부모는 달랠려고 하나 도움이 되질 않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아이가 스스로 진정이 되어야 하는 것이죠
아침에 일어났을 때 아이는 기억을 하지 못합니다.
야경증은 4세에서 12세, 여아보다 남아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야제증과 야경증은 증상 양상의 차이가 있지만
수면이 불안정한 증상은 비슷합니다.
정서적 불안
아이의 스트레스
피곤함
고열을 동반하거나 고열을 앓고 나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낮 동안에 극심하게 체력을 많이 쓰고
피로한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어요
아이에게 분비되는 호르몬이 코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있는데
코티솔은 아이들을 흥분 시킵니다.
텐션이 높아지고 흥분하고 각성 상태를 유지하여
깊은 잠을 방해 하는 것이지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들의 놀이 시간등 스케쥴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반대로
체력을 다 소진하지 못했을 때에도 나타납니다.
집에서 티비만 보며 정적인 일상을 보내거나
늦은 시간에 낮잠을 자고 일어난 경우도 해당하겠지요
또한
정서적으로 환경 변화나 스트레스 받는 환경이 있는지
찾아봐주고 조절 해 줘야 합니다.
야경증,야제증은 아니지만
아이가 숙면을 못 취하고
잠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자주 깨는 아이들이 있어요
낮시간에 적절한 햇볕 노출이 도움이 됩니다.
날이 좋을 때 가벼운 산책을 하는 것이 좋지요
비타민D 를 섭취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잠자기 전에 일정하게
잠자는 준비를 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잠자기 전에 과도한 흥분을 조절하고
차분하게, 일정하게 잠자리 들 준비를 합니다.
유독 예민하게 잘 깨고 깊이 못 자는 아이는
잠 들고나서 바로 자리를 비우지말고
잠자고 40분에서 한 시간정도는
아이 옆에 있어주는게 좋습니다
이 시간은 아이가 잠이 덜 들어서 깨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 잘 재우는 방법으로
아이들 체온을 저녁에 낮춰주는 것도 좋습니다.
저녁에 샤워를 시킬 때에 뜨거운 물로 씻기지 마세요
적당한 물 온도로 씻고 체온이 내려가면
아이들은 잘 잡니다.
반대로
아이의 발은 따뜻하게 해 주는 것이 좋아서
발 마사지나 물수건을 해 주면 좋습니다.
아이를 따뜻하게 키워야 한다고 생각을 하지만
아이가 깊이 잠을 자고 푹 자는것이 더 중요하겠죠.
방 안 온도는 20도 이하로 시원하게 해 주세요
습도는 높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열대야에 잠을 잘 못드는 이유)
'엄마의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입학준비 참고서,7세맘 추천,예비초등맘 읽어보세요 참쉽다초등학교입학준비 (0) | 2021.10.22 |
---|---|
영유아 빈혈 부족, 고기 잘 안먹는 아이 어떻게 할까요?아이의 식습관 교육 가장 중요한 것은 (0) | 2021.08.31 |
초등 입학을 앞두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0) | 2021.08.24 |
오은영 박사가 말하는 공부 잘하는 아이란, 점수에 목 매지 마세요 (0) | 2021.08.23 |